소형, 복합찬기 사용
- 찬 그릇이 크면 아무래도 반찬을 많이 담게 됨
- 김치등 찬류는 공동찬통 사용
먹고 남기지 않을 만큼의 적정량 제공
- 한번 제공한 음식은 재 사용되지 않도록 먹을 만큼 개별제공
- 반찬이 부족하여 손님이 원할때에는 처음 제공량을 감안하여 무료로 추가 제공
- 음식물 유형에 따른 권장 반찬 가짓수 준수
- 음식물 유형에 따른 권장 반찬 가짓수를 적정량 제공
- 개인별로 덜어 먹을 수 있는 집게, 국자, 개인별 찬기 제공
- 한정식은 가능한 한 순차적으로 음식 제공
손님이 적정량의 반찬을 선택하여 먹을 수 있도록 제공
- 음식물 유형에 따른 권장 반찬 가짓수를 적정량 제공
- 개인별로 덜어 먹을 수 있는 집게, 국자, 개인별 찬기 제공
- 한정식은 가능한 한 순차적으로 음식 제공
위생적인 식사 분위기 조성
- 종사자에 대한 위생 및「좋은식단」실천교육 실시
- 음식찌꺼기를 담을 수 있는 빈그릇 별도 제공
- 종업원의 위생복 착용 및 친절한 서비스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기를 설치하는 등 적정 처리
- 남은 음식물을 싸 줄수 있는 용기 또는 포장지 비치
- 1회용품 사용 금지
권장반찬가짓수
음식유형 | 음식(예) | 반찬 가짓수 | 비고 |
---|---|---|---|
곰 탕 류 | 곰탕, 갈비탕, 설렁탕 등 | 반찬 2~3 | 반찬은 복합메뉴로 하여 고객이 선택하도록 함. 용기류는 가급적 소형으로 하며 찬량은 소량 제공 |
장 국 류 | 대구탕, 아구탕 등 | 반찬 2~3 | |
찌 개 류 | 김치, 된장, 순두부찌개 등 | 반찬 3~4 | |
비빔밥류 | 비빔밥, 돌솥밥 등 | 반찬 2~3 | |
면류 | 국수, 칼국수, 냉면 등 | 반찬 1~2 | |
전골류 | 곱창, 해물, 버섯전골 등 | 반찬 3~4 | |
구이류 | 불고기, 생선구이 등 | 반찬 4~5 | |
찜류 | 아귀찜, 갈비찜 등 | 반찬 3~4 | |
백반류 | 가정식 백반 | 반찬 5~6 | |
도시락류 | 도시락 | 반찬 6~7 | |
김밥 도시락 | 반찬 1~2 |
식중독 예방원칙
식품에 식중독균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청결의 원칙)
- 행주, 도마, 칼 등 부엌 기구의 소독을 철저히 한다.
- 손에 상처가 있는 사람과 설사가 있는 사람을 조리작업에 종사하지 않도록 한다.
- 조리장 내외의 청소에 노력하고 청결한 위생복을 착용한다.
- 음식물 조리전, 후에 손을 깨끗이 씻는다.
식중독균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신속의 원칙)
- 식품에는 원래 다소의 식중독균이 오염되어 있는 것이 많기 때문에 식중독 균이 증가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도록 신속하게 조리하여 제공
- 많은 양을 가열 조리한 식품은 소량으로 나누어 빨리 냉각시킨다.
- 중요한 점은 식중독균이 있어도 그것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숫자가 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식중독균을 사멸한다 (가열 또는 냉장의 원칙)
- 가열할 수 있는 식품은 충분히 가열하여 조리한다.
- 식중독균의 사멸을 위하여 전날에 가열·조리된 식품은 손님에게 제공하기 전에 반드시 재가열한다.
- 균이 증가하기 쉬운 온도에 방치하는 시간을 짧게 하고 냉장(가능하면 5℃전후) 또는 냉동(-18℃이하) 상태에서 보관한다.
- 담당부서
- 환경위생과 위생팀
- 문의
- 055-530-1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