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01
- 취수장
상수원수를 취수하는 곳
-
- 02
- 착수정
취수장에서 보낸 물이 정수장에 처음으로 도착하는 곳으로 원수에 함유된 흙, 이물질등을 가라 앉히는 역할도 하는 곳임
-
- 03
- 전염소처리
착수정에 도착한 원수에 염소를 주입하여 1차 소독 및 암모니아성 질소 등 불순물을 제거하며 전오존처리를 할 경우에는 전염소처리를 하지 않거나 주입 비율을 낮추기도 함
-
- 04
- 전오존처리
고도정수처리 과정의 제1단계로 원수를 오존에 접촉시켜 유, 무기물을 산화, 분해시키는 과정으로 전염소 처리과정과 병행하기도 함
-
- 05
- 약품투입
원수에 응집제 또는 알카리제 등 정수약품을 투입하는 곳
-
- 06
- 혼화지
원수와 정수약품을 균일하고 신속하게 잘 섞이도록 혼화기로 저어주는 곳
-
- 07
- 응집지
정수약품과 원수속의 부유물 기타 찌거기가 반응을 하여 플럭(미세한 부유물 덩어리)으로 엉키어 침전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곳
-
- 08
- 침전지
물속의 응집물(플럭)을 가라앉은 찌꺼기는 버리고 깨끗한 상등수를 다음 과정인 여과지로 보내는 시설(침전지 길이는 70.6m로 현재 3지를 가동중임)
-
- 09
- 여과지
침전지를 거친 물을 두터운 모래층을 통과시켜 미세한 침전 잔류물을 제거시 킨 불순물이 없는 맑은 물을 정수지로 보냄(일반정수처리는 여기서 끝나고 정수지를 거쳐 공급)
-
- 10
- 후오존처리
고도정수처리과정의 하나로 여과지에서 걸러진 물에 강력한 산화력을 지닌 오존을 접촉시켜 일반정수처리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미생물, 유기물질을 효과 적으로 살균, 분해하는 곳
-
- 11
- 활성탄여과지
오존처리와 함께 고도정수처리과정의 하나로 오존처리에 의해 물속의 분해된 이물질이나 잔류 오염물을 흡착력이 뛰어난 활성탄(야자수나무 숯)으로 다시 한번 걸러주는 곳
-
- 12
- 후염소처리
전처리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미생물이나 각종 세균을 최종적으로 제거, 살균하는 과정으로 수돗물에 냄새가 나지 않게 적정농도로 주입
-
- 13
- 불소처리
치아건강을 위하여 수돗물에 불소를 투입하는 곳
-
- 14
- 정수지
정상 처리된 맑은 물을 가정 등 각 수요가구에 송수하기 전 임시 저장하여 정수생산량과 물수요에 대하여 원활하게 대처하는 곳
-
- 15
- 가정급수
수요가구에 대한 급수는 정수지에서 적정수압으로 직접 공급하거나 고지대 등 직접 급수가 곤란한 경우에는 가압장과 배수지를 이용하여 공급
- 담당부서
- 수도과 상수도팀
- 문의
- 055-530-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