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에이즈란
- 에이즈는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약어로 '후천성면역결핍증' 이라고 함
- 에이즈 바이러스(HIV : Human Immunodificiency Virus, 인면역결핍바이러스)가 몸속에 침입하여 우리몸의 면역세포를 파괴시켜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각종 '감염병' 이나 '암' 등이 생겨서 사망하게 되는 질병
HIV 감염자와 에이즈 환자의 구분
- HIV감염자 : 에이즈 바이러스(HIV)의 침입으로 검사 결과 항체가 형성된 자로서 외관상 건강해보이나, 타인에게 전파력이 있으며, 에이즈감염자, HIV항체양성자, 보균자 라고도 함
- 에이즈환자 : 에이즈 바이러스(HIV)가 침입하여 면역기능이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폐렴, 뇌막염, 카포시육종(피부암의 일종) 등 질병이 감염된 상태의 환자 판정기준에 속하는 것으로 신고된 자를 말함
에이즈 전파경로
- HIV감염자와 성접촉으로 인한 감염(남성 동성연애 포함)
- HIV에 감염된 혈액 또는 혈액제제 수혈로 인한 수혈감염
- HIV에 감염된 주사기나 주사침 등의 사용에 의한 감염
- HIV에 감염된 산모로부터 태어나는 신생아에게 수직감염
- 다음과 같은 경로로는 전파되지 않습니다
- 공기나 물에 의하여 옮기지 않습니다.
- 악수, 포옹, 가벼운 입맞춤, 음식물 같이먹기, 술잔돌리기, 손잡이, 공중목욕탕, 화장실 변기의 공동사용 및 모기 등 곤충에 의해서는 옮겨지지 않습니다.
- 일상적인 직장, 학교, 가정 등의 생활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습니다.
에이즈 감염후 경로
- 항체 형성기간은 HIV감염후 6주∼14주(보통12주)이나, 개인에 따라 6개월∼ 2년인 경우도 있습니다.
- HIV감염자의 20∼30%가 감염후 5년 이내 에이즈 환자로 발현 됩니다.
- HIV감염자는 평생 전염력이 있습니다.
에이즈의 임상증상
- 초기에는 체중감소(평균체중의 10%), 원인모를 만성설사, 발열, 지속적인 마른기침, 전신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질병이 진행되면서 피부염과 물집, 구강 및 식도염, 대상포진, 임파선 종창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뉴모시스티스카리니폐렴 등 기회감염이나 카포시육종 (피부암의 일종), 임파종 등이 발현합니다.
- 감염후 대부분 10년 이내에 50% 이상이 에이즈 환자로 발병되며, 환자로 진전되면 거의 2년 이내 사망하게 됩니다.
에이즈 감염여부 검사
- 전국의 모든 보건소에서 무료로 익명 또는 가명으로 받을 수 있으며, 검사결과는 절대비밀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감염자에게 도움을 주는 관련기관 인터넷 홈페이지
- 대한에이즈예방협회 1599-8105(http://www.aids.or.kr)
- 한국에이즈퇴치연맹 02-927-4071(http://www.kaids.or.kr)
공수병(Rabies)
- 원인균 : 공수병 바이러스(Rabies virus)
- 주요증상 : 발열, 두통, 피로, 불안, 연하곤란 등의 증세를 보이며,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부정맥, 장마비 등의 합병증
- 감염경로 : 공수병 바이러스에 감염된 야생동물(너구리, 여우, 박쥐)이나 사육동물(개, 고양이 등)에 물리거나 감염된 동물의 타액 또는 조직을 다룰 때 눈, 코, 입 또는 상처를 통해 감염
- 잠복기 : 13일~2년 광견병
- 예방요령(가축)
- 예방접종을 철저히 합시다.(3개월 이상된 동물에게 접종합니다)
- 야생동물과 직접적인 접촉을 금지합시다.
- 공수병 예방요령(사람)
- 감염된 동물에 물렸을 경우, 즉시 상처부위를 물로 씻은 후 비눗물로 깨끗이 닦고 상처부위를 알코올로 소독합시다.
- 가까운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응급처치를 받도록 합시다.
- 공수병 신고 및 문의처
- 국립보건원 신경계 바이러스과 : 055-380-1498~9
- 국립보건원 의동물과 : 055-380-1509
- 국립보건원 방역과 : 055-380-1573~4
말라리아(Malaria) 황열(Yellow fever)
주요증상
- 발열과 오한이 반복 → 한기(오한, 체온상승) → 열기(체온상승, 안면홍조, 호흡급박, 결막충혈, 오심, 구토, 두통, 근육통) → 발한기(해열) → 무열기(안정)
- 갑작스런 발열, 두통, 오심, 구토 등
- 병이 진전되면 단백뇨와 요결핍이 자주 생기며 치은출혈, 토혈, 흑색변이 보임
발생지역
- 우리나라에서는 삼일열 원충에 의한 말라리아가 유행
- 경기도, 강원도 북부지역에서 많이 발생
- 우리나라에는 존재하지 않음
감염경로
- 말라리아 매개 모기(중국얼룩날개모기)에 물렸을 때 감염
- 수혈로도 감염 - 황열 매개 모기(열대줄무늬모기)에 물렸을 때 감염
예방법
- 말라리아 예방약은 반드시 의사의 처방 전을 발급받아 약국에서 구입 가능
- 유행지역(아프리카, 남미) 여행시 예방 접종증명서가 요구되며 증명서는 10년간 유효
예방접종처
- 인천국제공항검역소(032-740-2703)
- 지참물 : 여권
- 담당부서
- 보건정책과 감염병관리팀
- 문의
- 055-530-6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