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왕산 진달래(봄)
화왕산성은 화왕산 정상(756.6m)에 축조되어 있는 성(城에)으로, 성곽의 둘레가 약 2.7㎞에 달하는 석성으로 자연 지형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성벽을 쌓아 올렸고, 처음 쌓은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가야시대(5~6세기)로 추정하고 있다.
화왕산성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태종실록’에서 찾을 수 있는데, 태종 10년 2월에 화왕산성을 비롯하여 경상도와 전라도의 주요 산성을 고쳐지었다고 하며, ‘동국여지승람’에는 성종 때에 그 기능을 상실하여 폐성된 것으로 전한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창녕 뿐 아니라 영산, 현풍을 아우르는 군사적 요충지로 인식되어 곽재우 장군이 의병 활동의 본거지로 활용하면서 크게 고쳐지었으며, 임진왜란 이후에도 한두 차례 중수해 지금까지도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홍의장군 곽재우께서 화왕산성을 의병의 거점으로 하여 왜군이 진주를 통해 운봉으로 진출하려는 길을 차단하였고, 왜군의 경상남도 침입을 막을 수 있었던 것이 화왕산성의 지세에 힘입은 바가 컸다고 전함)
화왕산성 안쪽에는 큰 나무가 없는 평지로 약 18.5㏊의 억새평원이 사계절 장관을 이루며, 창녕조씨득성비와 용지(연못 명) 3기가 경상남도 기념물 제246호로 지정되어 있다.
화왕산의 북쪽 봉우리부터 서쪽으로 뻗은 지맥의 끝부분에 하나의 계곡을 포용하여 창녕박물관 뒤쪽까지 축조한 산성으로 포곡식(包谷式) 산성 형식의 대표적인 예이다.
목마산성의 축성연대는 문헌에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불명확하나,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연결되어 있고 위쪽으로는 화왕산성이 위치하는 것으로 보아 화왕산성을 방비하기 위한 외성의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하며, 따라서 화왕산성과 같은 시기의 것으로 추정한다. 목마산성 역시 화왕산성과 같은 석성이며, 사람머리 크기의 산(山)돌을 주로 사용하였고 부분적으로 자연암반을 그대로 이용한 곳도 있다.
화왕산 정상에서 동쪽 외곽에 위치하고 있는 드라마촬영지는 ‘허준 드라마세트장’으로 이용 후 대장금, 왕초, 상도, 조폭마누라, 영웅시대, 나는 왕이로소이다 등 각종 드라마 및 영화의 촬영지가 되었고, 드라마촬영지 주변으로 진달래군락지가 있어 봄에 더욱더 사랑을 받는 곳이다.
자연산송이
보리밥, 청국장, 오리백숙, 버섯전, 산채비빔밥 등
진달래 만개일 : 4월 둘째 주 예상
억새 만개일 : 10월 둘째 주 예상
※ 실시간 개화 상황을 "창녕뉴스 > 창녕군홍보영상 > 화왕산 진달래,억새" 메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창녕순환버스 이용 창녕여자 중고등학교에서 하차하여 5분 도보 또는 택시이용(시내요금)
시내버스(영신버스터미널)에서 1일 4회 옥천행 시내버스 운행
1999년에 제작된 드라마로 차인표, 송윤아, 김남주, 허준호 등이 출연하였으며 화왕산은 어린 김춘삼과 그의 누이가 재가한 어머니를 찾아 가는 산길 장면을 헬기 촬영한 곳이다.
1999년에 제작된 드라마로 전광렬, 황수정, 이순재, 김병세 등이 출연하였으며 화왕산에는 허준이 전염병에 걸린 사람들을 돌보며 치료하는 장면을 촬영한 드라마세트장이 있으며 너와집 3, 굴피집 3, 움막 2, 망루 1개 등이 있다.
2001년에 제작된 드라마로 이재룡, 이순재, 김현주, 정보석 등이 출연하였다. 화왕산 드라마세트장은 재인마을로 촬영되었으며, 행단의 긴 행렬이 지나가던 가르마같은 초원 길로 촬영한 곳이기도 하다.
2001년에 제작된 영화로 신은경, 박상면, 안재모, 김인권 등이 출연하였다. 화왕산은(이 곳은) 주인공 신은경이 칼잡이와 한판 대결을 벌인 곳이기도 하다.
2003. 09 ~ 2004. 03까지 방송된 드라마로 이영애, 지진희, 홍리나, 임호, 양미경 등이 출연하여 열연을 펼쳤다.
화왕산은 장금이 민정호를 만나는 장면을 촬영하였고, 화왕산성을 배경으로 장금이 억새풀 사이를 걸어가는 장면을 촬영한 장소이기도 하다.
2011년 4월에 제작된 「나는 왕이로소이다」는 세종대왕의 충녕 시절을 다룬 영화로 화왕산 드라마 세트장에서 촬영되었다. 주지훈, 백윤식, 변희봉 등이 출연하였으며 2012년 8월에 개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