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소개

명리(明里)

일문역(一門驛, 훗날 日門驛으로 표기)이 있었던 역촌으로 일찍부터 관아의 영향을 받았던 곳이다. 본래 일문과 월산(月山) 두 마을이었으나 1914년 합쳐지면서 각 마을의 앞 글자를 따 명리(明里)라 하였다. 행정리로는 명리1구와 명리2구 2개로 나뉜다.

사리(舍里)

신라시대부터 관룡사(觀龍寺), 옥천사(玉川寺), 대흥사(大興寺) 등 사찰과 암자가 많아 사리(寺里)라고 한 것이 훗날 같은 음인 집 사(舍)를 쓰면서 사리(舍里)가 되었다. 사리에서 창녕읍 옥천리 간의 골짜기는 신라, 고려 시대의 불교가 크게 번성하였던 불교성지로 원효대사부터 고려말 신돈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스님과 불자들이 거쳐 간 곳이다. 행정리로는 사리와 전평, 달촌 3개로 나뉜다.

신당리(新堂里)

옛 계성현의 현청 소재지로 마을 뒤 신당산성에 서낭을 모신 당이 있어 신당(神堂)으로 불리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계성현이 영산현에 합속되면서 미신적인 요소 때문에 신당(新堂)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본다. 행정리로는 신당과 화곡 2개로 나뉜다.

계성리(桂城里)

남방골(계남)의 앞산이 마치 게(蟹)의 형상을 하고 있어 ‘게성’이라 한 것을 한자로 쓰면서‘해성(蟹城)’보다 뜻도 좋고 글자도 간단한 계성(桂城)으로 표기하였다고 한다. 1914년 남방리, 천리, 못골 등을 합하여 계성리가 되었고 그 이전에는 계성리가 없었음에 비추어 계성면의 이름이 그대로 마을 이름으로 쓰인 듯하다. 행정리로는 계성, 계전, 계교, 계남, 계산 5개로 나뉜다.

광계리(廣溪里)

계성천이 가장 넓게 흐르는 지역으로 넓은 내라는 뜻의 ‘넙개’가 ‘광계(廣溪)’로 표기되었다. 1914년 마고면의 자래덤(별암, 鱉岩) 일부를 병합하면서 광계리가 되었다. 행정리로는 광계와 남광계, 평성, 관동 4개로 나뉜다.

봉산리(鳳山里)

봉산리의 봉산은 봉수대가 있었기 때문에 ‘봉산(烽山)’이라 하였는데 후에 ‘峰山’에서‘鳳山’으로 변화했을 것으로 추측되나 또 다른 유래가 있다 한다. 즉 마을 앞에 물이 달고 수량이 많기로 유명한 ‘새미(샘, 泉)’가 있어 마을의 이름을 ‘새미골’이라 하였는데 ‘새미’를 ‘새 봉(鳳)’으로 훈차하여 ‘봉산(鳳山)’이라 썼다고 한다. 행정리로는 봉산 1개가 있으나 광계리 관동 일부가 봉산리에 속하고 있다.


담당부서
계성면 총무팀
문의
055-530-6861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 참여하기